이조시대 그려진 이 바위의 그림이 미국에서 발견되었다. 서기 1770년 그려진 그림에 우금암(禹金巖)이라고 적혀 있으므로 이 바위는 이조시대에도 우금암으로 불렸다는 것을 알 수 있다. (18세기 조선 화단의 총수(總帥) 표암 강세황(豹菴 姜世晃, 1713~1791)이 서기 1770년 2월 전북 부안 변산반도 일대를 스케치한 유우금암기(遊禹金巖記)가 미국 LA 카운티 박물관에서 발견됐다. 길이 268.4㎝, 높이 25.6㎝, 닥종이에 먹으로 그린 두루마리 그림으로 스케치 6점과 여행기로 구성됐다.)--"역사와 신화의 경계" 권선철 님의 글 중에서-- 우금암(울금암)은 전북 부안군 상서면(上西面)의 우금산(331 미터) 정상에 있다. 산 꼭대기의 거대한 바위가 현저하게 눈에 띄어 바위의 이름이 생겼다...